|
 |
|
▲ 권영지 기자 |
여자 중학교를 다니던 시절, 학교 주위에 ‘이상한 아저씨들’이 자주 출몰했다. 알몸에 긴 외투만 걸치고 학교 주위를 배회하던 ‘바바리맨’, 학교 앞에 차를 세운 채 하교하는 여학생들을 보며 혼자 성욕을 풀던 ‘변태남’도 있었다.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은 낯선 남자들만 하는 것이 아니었다. 남자 선생님이 수업 중 떠든 여학생에게 칠판지우개를 던지더니 “또 그러면 다음엔 가슴을 맞출 줄 알라”고 폭언한 일도 있다. 수위의 차이는 있었지만 성희롱을 일삼는 남자 교사가 한 둘이 아니었다. 그런데 문제는 학교 밖의 변태남과 학교 안의 비교육적 교사들이 아니라 충격에 빠진 우리들에게 ‘공격의 화살’이 돌아왔다는 것이다.
“그렇게 입고 나가서 무슨 일을 당하려고 그러니?” “나쁜 일 생기면 그 시간에 돌아다닌 사람 책임이지!” ‘여자는 항상 알아서 조심해야 하는 존재’ ‘무슨 일이 생기면 처신을 똑바로 못한 네 책임’이라는 경고와 질책이 우리를 따라다녔다. 성범죄를 저지른 ‘그 남자들’을 잡아서 벌주는 것이 아니라 ‘당한 여자들’을 손가락질 하고 낙인찍는 분위기에 우리는 주눅 들면서 길들여졌던 것 같다.
|
 |
|
▲ 지영이 남학생에게 스토킹을 당하자 아버지가 "단정하게 입고 다니라"며 지영을 꾸짖고 있다. ⓒ 영화 <82년생 김지영>
|
|